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왜 유독 잘 사는 사람만 눈에 들어오는가? (이유, 해결방법)

by 소만이네 2025. 7. 26.
반응형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의기소침 하는 모습의 이미지

 

요즘 따라 유독 잘 사는 사람들만 눈에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 SNS를 켜면 모두가 멋진 집에 살고, 잘 나가는 직장에 다니고, 연애도 잘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그 모습이 부러운 걸 넘어, 나의 현실을 의심하게 만들고 감정적으로 위축되게 할 때, 우리는 자존감의 경고 신호를 받아들이는 시점에 와 있는지도 모릅니다. 저 또한 요즘 그런 감정들 때문에 고민이 됐습니다. 나는 취업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경력도 짧고, 돈 씀씀이도 헤퍼서 재테크도 제대로 못했고, 가정을 이룬 것도 아니고. 다른 또래들, SNS 속의 사람들을 보며 내 현실과 계속 비교하며 괴로운 시간을 보내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잘 사는 사람만 눈에 들어올 때 왜 감정이 흔들리는지, 그리고 어떻게 ‘나를 중심에 둔 시선’으로 회복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왜 유독 잘 사는 사람만 눈에 들어올까?

비슷한 또래, 비슷한 시기에 출발했지만 누군가는 직장도 탄탄하고, 여행도 자주 다니고, 금전적으로도 여유가 있어 보입니다. 그 사람들을 보면 마음속에서 이런 말이 튀어나옵니다. “나는 뭐 하고 있는 거지?” “저렇게 잘 사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데, 나만 뒤처진 건가?” 실제로는 수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리듬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유독 ‘성공하거나 앞서 나가는 사람’만 자꾸 눈에 들어옵니다.

왜 그럴까요?

그건 뇌의 선택적 주의(attentional bias) 때문입니다. 사람은 자신이 불안하거나 자존감이 흔들릴 때, 그 감정을 자극하는 자극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즉, 내가 스스로를 부족하다고 느끼는 순간, 뇌는 그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는 자극(=잘 사는 사람)만 필터링해서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건 심리학적으로도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우리가 느끼는 감정은 ‘잘 사는 사람 많다 → 나만 부족하다’는 왜곡된 결론으로 흐르기 쉽습니다.

이유: 비교 감정을 부추기는 뇌의 인지 오류

우리가 잘 사는 사람만 보게 되는 데에는 ‘선택적 주의’ 외에도 몇 가지 인지 오류가 작용합니다.

📌 대표적인 인지 오류 3가지

  • 확증 편향: 이미 ‘나는 부족해’라는 감정을 가진 상태에서는 그 감정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임.
  • 과잉 일반화: 특정 몇 명의 성공 사례를 전체 사람들의 평균처럼 받아들이고, 그에 비해 자신은 ‘예외’라고 여김.
  • 하이라이트 편집 효과: SNS나 타인의 말은 대부분 ‘좋은 부분만 편집된 장면’이라는 점을 잊게 됨. 즉, 남의 삶은 하이라이트, 내 삶은 전체 영상으로 비교하는 오류.

이러한 인지 왜곡은 자존감을 더 떨어뜨리고, 감정 소진을 빠르게 만듭니다. 따라서 비교를 멈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생각하지 않기’가 아니라, 내 감정이 지금 어떤 왜곡을 겪고 있는지를 인식하고, 바로잡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해결방법: ‘나 중심’ 관점을 회복하는 시선 전환 루틴

비교 감정에 지지 않고, 다시 나에게 집중하기 위해선 감정적 중심을 ‘외부 → 내부’로 전환하는 루틴이 필요합니다.

다음 3가지 루틴은 실제 상담 장면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훈련 방법입니다.

✅ 루틴 1. “내가 지금 부러워한 것은 무엇인가?”

단순히 “부럽다”에서 멈추지 않고, 그 감정 안에 있는 요소를 구체화하세요.
→ “저 사람의 여유가 부럽다”
→ “자신감 있게 사는 모습이 부럽다”
이렇게 감정 요소를 구체화하면, 그것이 나의 ‘필요’임을 인식하게 되고 비교가 아닌 방향 설정이 됩니다.

✅ 루틴 2. “지금 내가 가진 것에 주목하기”

아침이나 자기 전, 오늘 하루 내가 가진 것 3가지를 적어보세요.
예: “내가 좋아하는 커피를 마셨다”, “출근 전 10분 산책했다”, “건강하게 하루를 마쳤다”
작은 것에 주목할 때 뇌는 ‘결핍’ 대신 ‘충족’을 인식하게 됩니다.

✅ 루틴 3. 나만의 기준 한 줄 쓰기

매일 스스로에게 한 문장을 써주세요.
→ “남과 다른 삶이지만, 나는 나대로 충분히 잘 살고 있다.”
→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
이런 문장은 감정의 중심을 외부 자극에서 스스로에게 되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관점을 바꾸면 감정이 바뀝니다

 

잘 사는 사람만 보이는 시기는 감정적으로 내가 지쳐 있다는 신호일지도 모릅니다.
그럴수록 비교를 끊기보다, 관점을 조정하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내가 보는 방식이 바뀌면 감정도, 자존감도 서서히 회복됩니다.

남들과 같은 기준을 버리고, 나만의 기준을 새롭게 만들 수 있다면, 당신의 삶은 지금 이 자리에서도 충분히 의미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