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NS만 보면 낮아지는 자존감, 비교감정 벗어나는 방법

by 소만이네 2025. 7. 23.
반응형

각 종류별 sns 로고 이미지

 

SNS 속 사람들은 늘 빛나 보입니다. 일상도 멋지고, 모습도 단정하며, 모두가 무언가를 이루고 있는 듯한 분위기죠. 그런 피드를 보다 보면 문득 내 삶이 초라하게 느껴지고, 자존감이 흔들릴 때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SNS를 통해 유발되는 비교 감정의 심리 구조를 살펴보고, 디지털 자극에 휘둘리지 않도록 돕는 감정 루틴을 제안합니다. 비교 없는 삶은 어렵지만, 비교에 휘둘리지 않는 마음은 훈련할 수 있습니다.

 

왜 SNS를 보면 자존감이 낮아질까?

SNS는 우리의 감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특히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쇼츠 등 비주얼 중심 플랫폼은 누군가의 ‘하이라이트’만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며 우리 안에 비교 감정을 일으킵니다.

이는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에 기반합니다. 사람은 타인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것이 자존감의 크기에 영향을 주게 되죠. 문제는, SNS에서는 타인의 '진짜 삶'이 아닌, 편집된 '보여주는 삶'만을 본다는 점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성향을 가진 사람일수록 SNS로 인해 자존감이 더 쉽게 낮아집니다:

  • 남들의 시선에 민감한 사람
  • 인정 욕구가 강한 사람
  • 자주 무기력감을 느끼는 사람
  • 최근 감정적으로 지친 상태

자존감은 스스로에 대한 신뢰감입니다. 하지만 비교는 나를 의심하게 만들고, 이 의심은 결국 ‘나는 부족하다’는 신념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비교 감정은 왜 반복될까 – 감정의 구조 이해

SNS를 끄고도 비교 감정이 계속된다면, 그건 콘텐츠 때문이 아니라 감정의 자동 반응 루프 때문입니다.

비교 감정은 ‘무의식적 자동사고’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

“저 사람은 여행도 다니고, 외모도 예쁘고, 일이 잘 풀리는 것 같아 → 나는 뭐 하고 있지?” → “내가 너무 뒤처지는 건 아닐까?” →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

 

이 감정 구조는 뇌가 익숙한 방식으로 감정을 반응하도록 학습한 결과입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런 과정을 ‘인지 왜곡’ 혹은 ‘비합리적 신념’이라고 설명합니다. 중요한 건, SNS를 끊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을 인식하고 다르게 반응하도록 훈련하는 것입니다.

 

 

SNS로부터 나를 지키는 루틴 3단계

비교 감정에 휘둘리지 않기 위한 실질적 루틴 3가지를 제안합니다.

루틴 1. SNS 접속 전 감정 체크

SNS에 들어가기 전, 지금 내 기분을 먼저 기록해보세요.
예: “지금 나는 외롭다”, “하루 종일 무기력하다”
이 한 줄만으로도 ‘외부 자극에 취약한 상태’임을 인식하게 됩니다.

루틴 2. 비교 감정 떠오를 때 자동 문장 설정

“나는 나만의 속도로 가고 있다.”
“저건 저 사람의 이야기고, 나는 내 삶을 살고 있다.”
이런 자동화된 긍정 문장은 감정 반응을 재설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루틴 3. 감정 중심 SNS 사용법

  • 피드를 정리하고, 감정적으로 긍정적인 계정만 남기기
  • 정보보다 감정 회복 중심 콘텐츠로 팔로우 재구성
  • 주 1회 SNS 휴식일 정해 감정 디톡스하기

 

 

비교하지 않아도 괜찮은 내가 됩니다


SNS는 삶을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그러나 감정적으로 취약한 상태에서는 쉽게 자존감을 흔드는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비교 감정은 피할 수 없지만, 그 감정에 휘둘릴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 나의 속도를 인정하고, 나의 감정을 돌보는 것부터 다시 시작해보세요.
자존감은 남보다 ‘나’를 더 오래 바라볼 때 회복됩니다.

반응형